티스토리 뷰

패턴 시리즈 #26 — I’m not sure if ~ ( ~인지 잘 모르겠어요 )

핵심 설명: 단정적으로 말하기보다 완곡하게 불확실성을 표현할 때 쓰는 미국식 회화. 바로 “No/Yes”를 말하기 곤란할 때, 사실 확인 전 신중한 톤을 낼 때 유용합니다.

사용 팁
I’m not sure if/that + 절(문장) / I’m not sure about + 명사(구)
• 뒤에 “but/so”로 대안·후속조치 연결: …but I can check., …so let me confirm.

예문 15개 (영/한)

  1. I’m not sure if this is the latest file.
    이게 최신 파일인지 잘 모르겠어요.
  2. I’m not sure if we have enough time today.
    오늘 시간이 충분한지 모르겠어요.
  3. I’m not sure if she’s available at 3.
    그녀가 3시에 가능한지 모르겠어요.
  4. I’m not sure if we need a reservation.
    예약이 필요한지 모르겠어요.
  5. I’m not sure if the link still works.
    그 링크가 아직 작동하는지 모르겠어요.
  6. I’m not sure if this charge is correct.
    이 청구가 맞는지 모르겠어요.
  7. I’m not sure if the package has shipped.
    소포가 발송됐는지 모르겠어요.
  8. I’m not sure if we can push the deadline.
    마감 연장이 가능한지 모르겠어요.
  9. I’m not sure if he got my message.
    그가 제 메시지를 받았는지 모르겠어요.
  10. I’m not sure if this is within our budget.
    이게 예산 범위 안인지 모르겠어요.
  11. I’m not sure if the meeting is recorded.
    회의가 녹화되는지 모르겠어요.
  12. I’m not sure if we should cc the client.
    고객을 참조에 넣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13. I’m not sure if this address is correct.
    이 주소가 맞는지 모르겠어요.
  14. I’m not sure if this is the right approach.
    이게 올바른 접근인지 모르겠어요.
  15. I’m not sure if the event is open to the public.
    행사가 일반인에게 공개되는지 모르겠어요.

1분 미니 대화 (영/한)

A (EN): I’m not sure if we need approval for this.

B (EN): I’m not either, so I’ll check with legal.

A (EN): Thanks—let’s confirm before we send it out.

A (KR): 이건 승인이 필요한지 잘 모르겠어요.

B (KR): 저도요, 법무팀에 확인해볼게요.

A (KR): 고마워요. 발송 전에 확인하죠.

비교 & 뉘앙스
  • I don’t know if ~ = 정보 부재(직설). I’m not sure if ~ = 신중·완곡.
  • I’m not sure about + 명사: I’m not sure about the timeline.
  • 후속조치 동반이 자연스러움: …but I’ll find out.

체크박스 연습표 (영/한)

상황 English 한국어
링크 확인 I’m not sure if the link still works. 링크가 아직 되는지 모르겠어요.
일정 I’m not sure if Friday is feasible. 금요일이 가능한지 모르겠어요.
예산 I’m not sure if this fits our budget. 예산에 맞는지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