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품 사용 후기

게임 콘솔 리뷰

Happymee 2025. 3. 22. 16:55

PS5 vs Xbox Series X

차세대 게임 콘솔 전쟁은 여전히 뜨겁다. 소니의 PS5마이크로소프트의 Xbox Series X는 각각 강력한 성능과 독특한 장점을 내세우며 게이머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직접 두 기종을 사용해 본 후, 각 콘솔의 특징과 차이를 정리해봤다.

CONSOLE & HANDHELD • 2025 UPDATE

2025 게임콘솔 실사용 비교 리뷰

PS5 / PS5 Slim · Xbox Series X / Series S · Nintendo Switch OLED / Lite · Steam Deck · ROG Ally — 성능·독점작·휴대성·저장 확장·발열/소음까지 실사용 기준으로 정리.

※ 모든 이미지는 Wikimedia Commons의 자유 라이선스입니다. 외부 이미지가 차단되면 이미지를 블로그 미디어에 업로드하고 src만 교체하세요(캡션의 크레딧은 유지).

PlayStation 5 본체와 듀얼센스
대표 이미지 — Osh33m,
Wikimedia Commons
(CC BY-SA 4.0)

핵심 요약

  • 싱글·대작·몰입PS5 계열이 강력 — 듀얼센스 햅틱/적응 트리거, VRR/120Hz 대응.
  • 가성비·구독 탐험은 Xbox Series S — 작고 조용, Game Pass와 궁합.
  • 휴대/로컬 멀티Switch OLED, 순수 휴대Switch Lite.
  • 체감 품질저장 확장·통풍/네트워크 튜닝에서 갈린다.

PlayStation 5 Slim

PS5 Slim 표준 모델
Back to our history,
Wikimedia Commons
(CC0)
  • 장점: 얇고 가벼운 섀시, 듀얼센스 체감, VRR/120Hz, M.2 확장.
  • 아쉬운 점: 입문 비용↑, SSD 장착 시 규격/방열 조건 준수 필요.
  • 추천: 대작·싱글 중심, 캡처/편집·VR2 관심.

Xbox Series S

Xbox Series S 본체와 컨트롤러
AsmodeanUnderscore/L0Ldu82,
Wikimedia Commons
(CC BY 4.0)
  • 장점: 소형·저전력·조용, 빠른 설치, Game Pass 가성비.
  • 아쉬운 점: 차세대 타이틀은 공식 확장카드 필요(USB 외장은 구세대용).
  • 추천: 입문/세컨드 콘솔, 기숙사·원룸·가족용.

Nintendo Switch OLED

Nintendo Switch OLED 화이트
KK IN HK,
Wikimedia Commons
(CC BY-SA/GFDL)
  • 장점: 선명한 OLED, 휴대/거치 겸용, 로컬 멀티 풍부.
  • 아쉬운 점: 성능 보수적, 일부 서드파티 최적화 편차.

Nintendo Switch Lite

Nintendo Switch Lite 블루
GerdeeX,
Wikimedia Commons
(CC BY-SA 4.0)
  • 장점: 가볍고 저렴, 휴대 전용에 최적.
  • 아쉬운 점: TV 도킹/HD 진동·분리 조이콘 미지원.

비교표(모델/옵션)

모델 강점 아쉬운 점 추천 대상
PS5 Slim 대작/독점작·듀얼센스, VRR/120Hz, M.2 확장 초기 비용↑, SSD 규격 체크 필요 싱글 몰입·영상미/프레임 중시
Xbox Series S 가성비·저전력·소형, Game Pass 차세대 타이틀은 확장카드 필요 입문/세컨드·원룸/거실 간편 셋업
Switch OLED OLED·휴대/거치 겸용, 로컬 멀티 고사양 타이틀 제약 가족/파티·휴대/거치 병행
Switch Lite 가벼운 휴대·합리적 가격 TV 출력·HD 진동/분리 조이콘 미지원 순수 휴대·학생/이동 많음

설명 강화 — 왜 이런 차이가 날까?

  • 전력·아키텍처 목표: 거치형(PS5)은 4K/고주사율을, S·Switch는 전력·소음·크기를 우선.
  • 생태계/독점 IP: 즐길 게임·구독이 다르면 만족도가 다름. 하드웨어 스펙만으로 판단 X.
  • 저장·I/O: SSD 성능·확장 방식이 로딩/패치 속도에 직결. 캡처/편집까지 고려하면 용량 설계가 중요.
  • 써멀/폼팩터: 작은 기기는 소음·온도 한계가 빨리 옴 → 목표 프레임(40–45fps)·해상도 타협이 체감 품질을 올림.

저장 확장 가이드(세부 규격 포함)

1) 모델별 확장 방식 요약

모델 확장 형태 지원 규격/주의점 메모
PS5 / PS5 Slim M.2 NVMe 내부 슬롯 PCIe Gen4 x4, 권장 읽기 5,500MB/s+, 2230/2242/2260/2280/22110, 방열 포함 두께 ≤ 11.25mm 방열판 일체형 권장, 장착 후 콘솔에서 포맷
Xbox Series S 공식 확장 카드 Series X|S 타이틀은 확장카드에서만 내부 성능으로 실행 USB 외장은 구세대 타이틀·보관용
Switch OLED/Lite microSD UHS-I, A2 등급 권장, exFAT 포맷 가성비 확장·휴대 최적

2) PS5 M.2 상세 체크리스트

  • 인터페이스: PCIe Gen4 x4 NVMe (M Key, Socket 3)
  • 폼팩터: 2230/2242/2260/2280/22110 (스페이서 위치 확인)
  • 권장 속도: 연속 읽기 5,500MB/s 이상
  • 크기(방열 포함): 폭 ≤ 25mm, 길이 30/42/60/80/110mm, 두께 ≤ 11.25mm
  • 방열: 단면/양면 가능. 일체형 방열판 모델 사용 시 추가 방열 불필요

3) 비용/운용 팁

  • 설치 위치 전략: PS5는 설정 → 저장 공간 → 설치 위치에서 M.2를 기본으로, 캡처 파일은 외장으로 분리.
  • 용량 계획: “자주 하는 10개만 설치” 원칙. 나머지는 보관/클라우드 설치 대기.
  • 신뢰성: 설치/삭제 잦으면 TLC 기반 제품 권장, 저가 미검증 microSD는 지양.

튜닝 팁 · 체크리스트

거치형(PS5/PS5 Slim/Xbox)

  • 통풍 확보: 벽/가구와 5cm+ 이격, 먼지 필터 주기 청소.
  • 4K/HDR/120Hz: TV의 HDMI 2.1·VRR 지원 확인, 인증 케이블 사용.
  • 네트워크: 유선 LAN + 라우터 QoS/포트포워딩, 5GHz 혼잡도 점검.
  • PS5: 캡처 대용량이면 외장으로 분리해 내부 SSD 여유 확보.

휴대형(Deck/Ally/Switch)

  • TDP 10–15W + 40–45fps 타깃 → 배터리·소음·온도 균형.
  • FSR/동적 해상도 활용, 팬 커브 ‘밸런스’로 소음 억제.
  • 휴대 모드: 밝기 자동·진동 약하게, 백그라운드 통신 최소화.
  • 도킹 시 유선 다운로드·충전 병행으로 배터리 스트레스 감소.

FAQ

Q. PS5 M.2 방열판은 꼭 필요해요?

네. 소니 가이드에 따라 효율적 방열이 요구됩니다. 일체형 방열판 모델이면 추가 방열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Q. Xbox에서 USB 외장 SSD로 신작을 바로 실행할 수 있나요?

아니요. Series X|S 전용 타이틀은 공식 확장 카드에서만 내부와 동일 성능으로 실행됩니다.

Q. Switch microSD는 어떤 등급이 좋나요?

UHS-I, A2 등급 권장. 용량은 256GB~1TB가 무난합니다.

오늘의 정리 · 추천 대상

  • 그래픽/프레임·대작 몰입PS5 Slim
  • 가성비/구독형/원룸Xbox Series S
  • 휴대/가족/로컬 멀티Switch OLED
  • 입문/세컨드/가벼운 휴대Switch Lite
#PS5 #PSSlim #XboxSeriesS #SwitchOLED #SwitchLite #게임콘솔리뷰 #저장확장 #튜닝팁

출처 / 이미지 크레딧